<제27장>
大哉(대재)라 : 크도다.
聖人之道(성인지도)여 : 성인의 도여
洋洋乎發育萬物(양양호발육만물)하여 : 양양히 만물을 발육케 하여
峻極于天(준극우천)이로다 : 높고 큼이 하늘에까지 닿았도다.
優優大哉(우우대재)라 : 우우히 크도다.
禮儀三百(례의삼백)이요 : 예의는 삼백이요,
威儀三千(위의삼천)이로다 : 위의는 삼천이로다.
待其人而後(대기인이후)에 : 그 사람을 기다린 뒤에야
行(행)이니라 : 행하여진다.
故(고)로 : 그러므로
曰苟不至德(왈구불지덕)이면 : “진실로 지극한 덕이 아니면
至道不凝焉(지도불응언)이라하니라 : 지극한 도는 이루어지지 않는다.”고 하였다.
故(고)로 : 그러므로
君子(군자)는 : 군자는
尊德性而道問學(존덕성이도문학)이니 : 덕성을 높이고 묻고 배우는 길을 가는 것이니,
致廣大而盡精微(치광대이진정미)하며 : 넓고 큼에 이르되 정치함도 다하여,
極高明而道中庸(극고명이도중용)하며 : 높고 밝음을 극하되 중용의 길을 가며,
溫故而知新(온고이지신)하며 : 옛것을 익히어 새것을 알며,
敦厚以崇禮(돈후이숭례)니라 : 돈후함으로써 예를 높이는 것이다.
是故(시고)로 : 그렇기 때문에
居上不驕(거상불교)하며 : 윗자리에 있어도 교만하지 아니하며,
爲下不倍(위하불배)라 : 아랫자리가 되어도 배반하지 않는다.
國有道(국유도)에 : 나라에 도가 있을 때에는
其言(기언)이 : 그 말은
足以興(족이흥)이요 : 일어나기에 족하고,
國無道(국무도)에 : 나라에 도가 없을 때에는
其黙(기묵)이 : 그의 침묵은
足以容(족이용)이니 : 용납되기에 족하다.
詩曰旣明且哲(시왈기명차철)하여 : 시경에 “이미 밝고 또 어짐으로써
以保其身(이보기신)이라하니 : 그 몸을 보전하도다.”고 하였으니,
其此之謂與(기차지위여)인저 : 그것은 이것을 말한 것이다.
목록
Status | 제목 | 날짜 | 조회 수 |
---|---|---|---|
<제1장>103 |
2011-08-24 | 2482 | |
<제2장>98 |
2011-08-24 | 2333 | |
<제3장>104 |
2011-08-24 | 1892 | |
<제4장>5 |
2011-08-24 | 2705 | |
<제5장>89 |
2011-08-24 | 1968 | |
<제6장>133 |
2011-08-24 | 2181 | |
<제7장>103 1 |
2011-08-24 | 1817 | |
<제8장>34 1 |
2011-08-24 | 6252 | |
<제9장>41 |
2011-08-24 | 1717 | |
<제10장>91 |
2011-08-24 | 2154 | |
<제11장>94 |
2011-08-25 | 2019 | |
<제12장>84 |
2011-08-25 | 2260 | |
<제13장>89 |
2011-08-25 | 2518 | |
<제14장>89 |
2011-08-25 | 2222 | |
<제15장>92 |
2011-08-25 | 1952 | |
<제16장>95 |
2011-08-25 | 2001 | |
<제17장>97 |
2011-08-25 | 2261 | |
<제18장>111 |
2011-08-25 | 2021 | |
<제19장>105 |
2011-08-25 | 2044 | |
<제20장>2 |
2011-08-25 | 2589 | |
<제21장>99 |
2011-08-25 | 1943 | |
<제22장>107 |
2011-08-25 | 2111 | |
<제23장>94 |
2011-08-25 | 2349 | |
<24장>97 |
2011-08-25 | 2288 | |
<제25장>96 |
2011-08-25 | 2230 | |
<제26장>98 |
2011-08-25 | 2233 | |
<제27장>45 |
2011-08-25 | 2157 | |
<제28장>96 |
2011-08-25 | 2595 | |
<제29장>95 |
2011-08-25 | 1844 | |
<제30장>99 |
2011-08-25 | 2129 | |
<제31장>95 |
2011-08-25 | 2116 | |
<제32장>97 |
2011-08-25 | 2181 | |
<제33장>101 |
2011-08-25 | 2654 |
0 댓글